위내시경 검사는 위 건강을 확인하는 중요한 검사 중 하나입니다. 하지만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는 검사 전 금식시간을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. 오늘은 위내시경 검사 전 필수 준비사항과 금식시간, 피해야 할 음식, 검사 후 주의사항까지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.
위내시경 검사 전 금식시간, 얼마나 지켜야 할까?
위내시경을 받기 전에는 위를 완전히 비워야 합니다. 그래야 내시경 카메라로 위 상태를 정확하게 볼 수 있습니다. 금식시간을 제대로 지키지 않으면 음식물이 남아 검사 결과가 부정확해질 수 있고, 심한 경우 구토할 수도 있습니다.
검사 전 필수 금식시간
- 일반 위내시경: 검사 6시간 전부터 금식
- 수면 위내시경: 검사 8시간 전부터 금식
- 기름진 음식(튀김, 고기 등) 섭취 시: 최소 10시간 금식
- 우유, 두유 등 유제품 섭취 시: 최소 8시간 금식
- 물 섭취 가능 시간: 검사 2시간 전까지 소량 가능
전날 저녁 9시 이후에는 아무것도 먹지 않고, 물도 아침 6~7시 이후에는 마시지 않는 것이 안전합니다.
검사 전 먹어도 되는 음식 vs 피해야 할 음식
검사 전날 저녁에는 어떤 음식을 먹느냐도 중요합니다. 잘못된 음식을 먹으면 위에 오래 남아 금식시간이 길어질 수도 있습니다.
검사 전 피해야 할 음식
- 기름진 음식: 삼겹살, 치킨, 튀김류
- 유제품: 우유, 요거트, 치즈
- 커피 & 차: 카페인이 위산 분비를 촉진
- 탄산음료: 위에 가스를 차게 함
- 씨 있는 과일: 포도, 참외, 딸기
- 술: 위 점막을 자극
검사 전 추천 음식
- 흰쌀밥 + 맑은 국
- 부드러운 죽
- 삶은 감자나 고구마
- 물
검사 전 약, 먹어도 될까?
검사 전에 약을 먹어도 되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습니다. 어떤 약은 검사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.
검사 전에 먹어도 되는 약
- 고혈압약: 검사 당일에도 물과 함께 복용 가능
- 갑상선약: 필요하면 검사 2시간 전까지 복용 가능
검사 전에 피해야 할 약
- 혈액응고 방지제(아스피린, 와파린 등): 검사 중 출혈 위험 증가
- 당뇨약 & 인슐린: 금식 상태에서 저혈당 위험 있음
- 철분제: 위 점막에 착색을 유발해 검사를 방해할 수 있음
검사 끝난 후, 언제부터 밥 먹어도 될까?
검사가 끝났다고 바로 밥을 먹으면 안 됩니다. 검사 후에는 위가 예민한 상태라 최소 1~3시간 정도 기다린 후 식사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.
검사 후 식사 가능 시간
- 일반 위내시경: 검사 후 1시간 후부터 가능
- 수면 위내시경: 검사 후 2~3시간 후부터 가능
- 조직검사(생검) 진행 시: 최소 4시간 이후 가능
검사 후 추천 음식
- 미음, 죽
- 삶은 계란, 두부, 감자
- 미지근한 물이나 따뜻한 차
검사 후 피해야 할 음식
- 맵고 짠 음식(김치, 라면, 매운탕 등)
- 뜨거운 음식과 음료
- 알코올과 카페인 음료
검사 당일 꼭 기억해야 할 꿀팁
- 편한 옷을 입고 가세요! 검사 중 자세를 바꿔야 하므로 몸을 조이는 옷은 피하는 게 좋습니다.
- 수면내시경 후 운전 금지! 마취 영향이 남아 있을 수 있어 보호자와 동행하거나 대중교통 이용이 안전합니다.
- 검사 후 격한 운동은 삼가세요. 위가 예민한 상태이므로 가벼운 산책 정도만 추천합니다.
- 검사 후 이상 증상이 있으면 병원에 문의하세요.
- 복통이 심할 때
- 피를 토하거나 검은 변이 나올 때
- 구토가 계속될 때
결론
위내시경 검사는 간단하지만, 정확한 검사를 위해 금식시간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
- 최소 6~8시간 금식
- 특정 음식과 약물 제한
- 검사 후에도 위를 보호하는 식단 유지
조금 귀찮아도 잘 준비하면 더 정확하고 안전한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. 건강한 위를 위해 정기적인 검사를 받고, 평소에도 속 편한 식습관을 유지하세요!
'건강&운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대상포진 예방접종 가격과 종류 완전정리 (0) | 2025.04.04 |
---|---|
다이어트 중이라면 병아리콩! 직장인 간편 건강식 추천 (0) | 2025.04.03 |
화농성한선염 단계별 증상과 치료법 총정리 (0) | 2025.03.17 |
음식물 과민증 검사 비용, 병원별 차이 (0) | 2025.03.12 |
손톱에 생긴 검은줄, 무시하면 위험한 이유 (증상·대처법 총정리) (1) | 2025.03.12 |